WSL 우분투에서 윈도우 파일 시스템 접근하고 파일 이동하는 방법을 단계별로 알려드립니다. 초보자도 쉽게 따라할 수 있는 실용적인 팁과 트러블슈팅까지 완벽 정리!
개발자라면 한 번쯤 경험해봤을 상황이 있습니다. WSL 우분투를 설치했는데 파일 관리가 너무 복잡하다는 것이죠. 윈도우와 리눅스 환경을 오가며 작업하다 보면 디렉토리 접근과 파일 이동에서 막히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 글에서는 WSL 초보자부터 숙련자까지 모두가 활용할 수 있는 실용적인 파일 관리 방법들을 소개하겠습니다. 복잡한 경로 외우기는 그만! 지금부터 효율적인 WSL 파일 작업법을 익혀보세요.
WSL 우분투 파일 시스템 이해하기
먼저 WSL 파일 시스템의 기본 구조를 파악해야 합니다. WSL 2에서는 실제 리눅스 커널을 사용하기 때문에 완전한 리눅스 환경을 제공합니다.
기본 디렉토리 구조
/home/사용자명
: 사용자 홈 디렉토리/mnt/c/
: C 드라이브 마운트 포인트/usr/local/
: 사용자 설치 프로그램/opt/
: 추가 소프트웨어 패키지
💡 Pro Tip
WSL 내부 파일 시스템에서 작업할 때가 윈도우 드라이브보다 5~10배 빠릅니다. 프로젝트는 가능하면 홈 디렉토리에 두세요!
제목 페이지 분리자 사이트 제목
윈도우에서 WSL 디렉토리 열기 4가지 방법
방법 1: 파일 탐색기 직접 접근 (가장 쉬운 방법)
윈도우 파일 탐색기 주소창에 다음을 입력합니다:
\\wsl$\Ubuntu\
여러 배포판이 설치된 경우:
\\wsl$\Ubuntu-20.04\
\\wsl$\Ubuntu-22.04\
방법 2: WSL 터미널에서 탐색기 실행
현재 디렉토리를 탐색기로 열고 싶다면:
explorer.exe .
홈 디렉토리를 열려면:
explorer.exe ~
방법 3: 윈도우 터미널 활용
- Windows Terminal 실행
- 드롭다운에서 Ubuntu 선택
Ctrl + Shift + D
로 화면 분할- PowerShell과 WSL을 동시에 사용
방법 4: 바로가기 생성
- 데스크톱 우클릭 → 새로 만들기 → 바로가기
- 위치에
\\wsl$\Ubuntu\home\사용자명
입력 - 이름을 “WSL 홈”으로 설정
WSL과 윈도우 간 파일 이동 완벽 가이드
GUI 방식: 드래그 앤 드롭
- 장점: 직관적이고 쉬움
- 주의: 대용량 파일은 시간이 오래 걸릴 수 있음
명령어 방식: cp와 rsync
기본 파일 복사 (cp)
# WSL → 윈도우
cp /home/username/file.txt /mnt/c/Users/username/Desktop/
# 윈도우 → WSL
cp /mnt/c/Users/username/Desktop/file.txt ~/
고급 파일 동기화 (rsync)
# 폴더 전체 동기화
rsync -av ~/project/ /mnt/c/Users/username/Desktop/project/
# 진행률 표시
rsync -av --progress ~/data/ /mnt/c/backup/
rsync 주요 옵션
-a
: 아카이브 모드 (권한, 시간 보존)-v
: 상세 출력--progress
: 진행률 표시--delete
: 대상에서 없는 파일 삭제
파일 관리 효율성을 높이는 고급 팁
심볼릭 링크 활용하기
ln -s /mnt/c/Users/$(whoami)/Desktop ~/desktop
ln -s /mnt/c/Users/$(whoami)/Documents ~/docs
ln -s /mnt/c/Users/$(whoami)/Downloads ~/downloads
배치 작업을 위한 스크립트
#!/bin/bash
DATE=$(date +%Y%m%d)
SOURCE="/home/$(whoami)/project"
DEST="/mnt/c/Users/$(whoami)/backup"
echo "백업 시작: $DATE"
rsync -av --progress "$SOURCE/" "$DEST/backup_$DATE/"
echo "백업 완료!"
권한 문제 해결하기
sudo chmod 755 filename
sudo chown $USER:$USER filename
sudo chmod -R 755 foldername/
개발자를 위한 실무 활용법
VS Code와 WSL 완벽 연동
code .
code ~/myproject
code filename.txt
장점
- WSL 파일 직접 편집
- 터미널 통합
- 디버깅 지원
- Git 완벽 연동
Git 저장소 관리 팁
git config --global core.autocrlf input
git config --global core.filemode false
git config --global core.quotepath false
성능 최적화 및 트러블슈팅
성능 향상법
/home
디렉토리 활용 → 더 빠름- 대용량 파일은 rsync로 전송
free -h
,df -h
,top
으로 메모리와 디스크 사용량 확인
자주 발생하는 문제
- WSL 디렉토리가 보이지 않음 →
wsl --list --running
,wsl --shutdown
- 권한 거부 오류 →
sudo
사용, 소유자 변경 - 한글 파일명 깨짐 →
export LANG=ko_KR.UTF-8
,sudo locale-gen ko_KR.UTF-8
WSL 2025년 최신 업데이트 활용하기
WSLg로 GUI 앱 실행
sudo apt install gedit
gedit filename.txt
sudo apt install nautilus
nautilus .
systemd 지원
echo -e "[boot]\nsystemd=true" | sudo tee -a /etc/wsl.conf
systemctl status
실무에서 자주 사용하는 명령어 모음
- 현재 위치 확인:
pwd
- 파일 목록 보기:
ls -la
- 디렉토리 이동:
cd ~/project
- 파일 찾기:
find . -name "*.txt"
- 압축 파일 생성:
tar -czf backup.tar.gz folder/
핵심 정리 🎯
- 간단한 작업 → 파일 탐색기 드래그 앤 드롭
- 반복 작업 → rsync와 스크립트
- 개발 작업 → VS Code WSL 확장
- 성능 중시 → WSL 내부 파일시스템 활용
WSL과 윈도우 간의 원활한 파일 작업은 개발 생산성에 큰 영향을 줍니다. 특히 심볼릭 링크와 rsync 자동화는 꼭 활용해보세요.
다음 글에서는 **“WSL에서 Docker와 Kubernetes 완벽 활용하기”**를 다룰 예정입니다.
이 글이 도움이 되셨다면 댓글로 궁금한 점을 남겨주세요. 공유와 좋아요도 잊지 마세요! 💙
🔗 관련 참고 링크
- Microsoft WSL 공식 문서: https://docs.microsoft.com/ko-kr/windows/wsl/
- Ubuntu WSL 설치 가이드: https://ubuntu.com/wsl
- VS Code WSL 확장: https://marketplace.visualstudio.com/items?itemName=ms-vscode-remote.remote-wsl